식도 열공 헤르니아 란?
위가 그 위치를 벗어나 식도가 통과하는 흉골 안의 개방부인 식도열공을 통해 가슴 속으로 올라가는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은 주로 식도와 위 사이의 근육 및 조직의 악화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50대 이상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그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슬라이딩 헤르니아
가장 흔한 형태로, 위의 일부분이 식도와 함께 식도 열공을 통해 위로 슬라이드 한다. 이 경우는 대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헤르니아 또는 굴곡 헤르니아
위의 큰 부분이 영구적으로 흉골 안으로 이동하여 위의 혈류를 방해하거나 식도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유형은 드물지만, 더 위 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증상 은?
대부분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일부 환자들에게서는 증상이 나타난다.
-위산 역류로 인한 속쓰림
-위산과 음식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역류성 식도염
-흉통, 삼키기 어려움, 트림, 상복부 통증, 심한 경우 호흡 문제나 가슴 압박감
진단은 어떻게?
식도 열공 헤르니아의 진단은 대개 내시경 검사, X-레이 검사, 그리고 때로는 컴퓨터 단층촬영(CT) 스캔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의사는 위와 식도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치료는 어떻게?
가벼운 식도 열공 헤르니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생활 습관의 변화로 관리가 가능하다.
체중감량,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고지방 식사 피하기 등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고, 위산 억제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위산 역류 증상을 완화할 수도 있다.
그 보다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수술은 위를 원래 위치로 복구하고, 식도 열공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위산 역류를 줄이고 식도를 보호할 수 있다.
식도 열공 헤르니아는 적절한 진단과 관리를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며, 심각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잡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맥 (0) | 2025.04.24 |
---|---|
갈락토오스 (Galactose) (0) | 2025.04.20 |
퇴행성 관절염 (0) | 2025.04.15 |
용혈성 빈혈 (0) | 2025.04.14 |
졸링거 엘리슨 증후군 (Zollinger-Ellison Syndrome) (1)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