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잡과사전

갈락토오스 (Galactose) 갈락토오스 란주로 우유와 유제품에서 발견되는 단당류이다. 화확적으로는 글루코스와 유사하지만 약간의 구조적 차이가 있다.갈락토오스는 소장 내에서 갈락토오스 효소에 의해 글루코스로 분해된다. 그런 다음 글루코스는 혈액으로 흡수되어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된다.   갈락토오스는 글루코스와 마찬가지로 우리 몸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해 우리 신체는 갈락토오스를 에너지로 활용한다.또한 갈락토오스는 글루코스와 함께 간에 저장되는 글리코겐 형성에 기여한다. 글리코겐은 에너지가 필요할 때 글루코스로 분해되어 에너지를 제공한다.그뿐 아니라, 갈락토오스는 신경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에 필요한 글루코스와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는 글루코스를 주요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하며, 갈락토오스는 뇌 기능을.. 더보기
식도 열공 헤르니아 (Hiatal Hernia) , 식도 열공 탈장 식도 열공 헤르니아 란?위가 그 위치를 벗어나 식도가 통과하는 흉골 안의 개방부인 식도열공을 통해 가슴 속으로 올라가는 상태를 말한다.이 질환은 주로 식도와 위 사이의 근육 및 조직의 악화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50대 이상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 그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슬라이딩 헤르니아가장 흔한 형태로, 위의 일부분이 식도와 함께 식도 열공을 통해 위로 슬라이드 한다. 이 경우는 대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헤르니아 또는 굴곡 헤르니아위의 큰 부분이 영구적으로 흉골 안으로 이동하여 위의 혈류를 방해하거나 식도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이 유형은 드물지만, 더 위 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증상 은?대부분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일부 .. 더보기
퇴행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이란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그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비만, 관절의 외상, 염증으로 인한 연골 손상 등이 있다.어려서부터 오랜 기간 관절에 병을 앓으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퇴행성 관절염이 발병할 수 있다. 증상은?가장 흔한 증상은 무릎의 통증인데,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 더 심하다.통증은 대개 오전보다 오후에 더 심하다.관절염이 진행되면 무릎이 붓고 물이 차며 하루 종일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척추에 관절염이 오는 경우 허리에 통증이 생긴다. 심한 경우 저릿저릿한 신경 증상이 발생하여 허리 디스크로 오인하기도 한다. 고관절에 발생한 경우 통증이 생기거나.. 더보기
용혈성 빈혈 용혈성 빈혈 이란적혈구가 정상적인 수명인 100~120일을 채우지 못하고, 정상보다 빠르게 파괴되어 생기는 빈혈이다.평상시 인체에서는 약 1%의 적혈구가 순환 혈액에서 제거되고, 골수는 제거되는 적혈구의 수만큼 새로운 적혈구를 생산한다.적혈구의 수명이 짧아지면 골수의 조혈 기능이 증가하므로, 적혈구가 어느 정도 파괴되더라도 이를 보충할 수 있을 때에는 빈혈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적혈구의 파괴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골수의 조혈 기능이 비교적 낮아지거나, 골수가 제거되는 적혈구를 보충할만큼 적혈구 생산을 증가시키지 못할 때 빈혈이 나타난다.  용혈성 빈혈의 원인은? -유전적 결함적혈구의 화학적 조성이나 형태에 영향을 주는 G6PD (6-인산 포도당 탈수 효소) 가 결핍되어 용혈성 빈혈이 나타날 수.. 더보기
졸링거 엘리슨 증후군 (Zollinger-Ellison Syndrome) 졸링거- 엘리슨 증후군 이란가스트린을 과다 분비하는 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이 종양은 주로 췌장이나 십이지장에 위치하며, 과도한 가스트린 분비로 인해 위산 생성이 극도로 증가한 결과, 심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설사, 역류성 식도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1955년 '로버트 졸링거' 와 '에드윈 엘리슨'이 처음 보고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소화성 궤양 질환의 약 1% 미만을 차지하며, 주로 20~50 세의 성인에게서 진단된다. 그 원인은?1. 가스트린종의 발생-80% 이상이 췌장 또는 십이지장에 발생하는데, 60~90%에서 악성 종양으로 진행되며간이나 림프절로 전이될 수 있다. 2. 가스트린이란위의 G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위벽 세포를 자극하여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데, 졸.. 더보기
스티븐슨 존슨 증후군 (Stevens Johnson syndrome)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이란? 피부병이 악화된 상태로 피부의 탈락을 유발하는 심각한 급성 피부 점막 전신 질환이다.의학적으로는 "피부점막안 증후군" 으로 부르며, 다형홍반의 일종으로, 다형홍반의 심각한 형태가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이며, 또한 이 질병의 가장 심각한 형태를 중독성표피괴사증이라고 한다.  그 원인은 대부분 약물 부작용이지만, 결핵, 디프테리아, 장티푸스, 세균과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예방 접종, 임신, 부패한 음식 등으로도 발병할 수 있다.현재로서는 다형홍반이 심해진 것이라는 것이 정설이며, 증상의 원인은 알레르기 반응, 혹은 독성 물질이 일으키는 피부 혈관의 반응이다. 그  증상 은?스티븐스 존슨 증후군의 특징적인 증상은 피부나 점액 막(점막 표피)의 염증이다. 피부 병변은 대게 홍반.. 더보기
씀바귀 씀바귀란여러해살이 풀로 잎이나 줄기를 잘라보면 쓴맛이 강한 흰 즙이 나온다.가느다란 줄기는 곧게 30c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뿌리에서부터 자라나는 잎과 줄기에서 생겨나는 잎이 있은데, 뿌리에서 자라난 잎은 둥글게 배열되어 땅을 덮고 피침 모양으로 생겨 가장자리에는 가시와 같은 작은 톱니를 가지고 있으며, 줄기에서 자라는 잎은 계란 꼴이고 밑동이 줄기를 감싸며 밑동에 가가운 부분에 약간의 톱니를 가진다.줄기 끝과 그에 가까운 잎겨드랑이로부터 자라난 꽃대에 6~8 송이의 꽃이 피는데 보통 5장의 꽃잎을 가지고, 꽃의 지름은 1.5cm 안팎이고 빛깔은 노란 색이다. 씀바귀의 약재명은 고채이며, 찬성질을 가지고 있고, 독성이 없어서 나물이나 약재 모두 뿌리째 이용하는 것이 좋다.이눌린, 트리테르페노이드, 세스.. 더보기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 이란글루코사민은 굴이나 게 껍질의 최종 분해산물로 글루코스와 아민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키틴 및 점액질에서 얻어지는 침상 결정이며, 아미노산과 당의 결합물인 아미노당의 하나로서 연골을 구성하는 필수 성분이다.새우나 게 등 갑각류의 껍질을 구성하는 성분인 키틴을 비롯하여 동물의 연골이나 피부를 구성하는 뮤코다당 등 다당류의 성분으로 분포하며, 사람의 혈액이나 점액 속에 단백질과 결합하여 존재하기도 하고, 적혈구의 세포막에는 당지질 형태로 존재한다. 글루코사민은 핵소사민의 일종이며 대표적인 천연 아미노당의 하나로 키토사민이라고도 한다. 자연계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형태로 키틴, 뮤코다당, 당단백질 당지질, 세균의 세포벽인 펩티드글리칸, 리포다당 등에 함유되어 있다. 글루코사민의 역사는 1876.. 더보기

728x90
반응형